knowledge/기타 지식

1. Base64Base64 인코딩 방식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ASCII 문자열로 변환하는 인코딩 방법이다.바이너리 데이터를 64개의 인쇄 가능한 ASCII 문자로 변환한다.문자는 A-Z, a-z, 0-9, +,/ 로 구성되고, 인코딩 과정에서 패딩을 위해 ‘=’문자가 사용된다. 2. Base64 인코딩 과정2.1 바이너리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나누기인코딩할 바이너리 데이터를 8비트 단위의 바이트로 나눈다.왜 8비트인가 하면 보통 데이터를 표현하고 처리할 때 8비트가 일종의 표준화가 되었고,현대 컴퓨터 아키텍처와 잘 호환된다. 따라서 처리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존재한다. 2.2  24비트 블록으로 그룹화Base64의 모든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2^6 이 필요하다. 따라서 6..
1. 인코딩/디코딩 이란? 데이터를 다른 형식이나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주로 데이터 크기를 줄이고,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게 변환합니다.인코딩으로 데이터를 변환하고 디코딩으로 원문을 구할 수 있습니다.  2. 종류 ▶ 아스키 코드 아스키 코드는 미국 표준 코드로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코드입니다. 아스키 문자 1개는 1바이트 크기로, 7비트로 문자를 표현하고 1비트는 오류 체크를 위해 사용합니다. 즉, 2^7 = 128 개의 문자 표현이 가능합니다. 아스키 코드는 제어문자, 가시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유니코드 아스키 코드의 제한적인 표현 범위 때문에 유니코드가 등장했습니다. 전세계 모든 언어의 문자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 코드입니다. 최대 32비트로 문자 1개를 표현합니다. UT..
1. 논리 연산 논리 연산은 프로그래밍에서 조건을 판단하고 결합할 때 사용되는 기본적 연산입니다. 주로 Boolean값으로 참(True) 또는 거짓(False) 사이의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연산의 종류로는 AND, OR, NOT, XOR 연산이 있습니다.  AND 연산은 둘 다 참이면 참입니다. OR 연산은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입니다. NOT 연산은 참을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꿉니다. XOR 연산은 두 조건이 서로 다르면 참이고, 같으면 거짓입니다.  2. 비트 연산 비트 연산은 논리 연산을 비트 단위로 수행하는것을 말 합니다.1은 참, 0은 거짓을 나타냅니다.  OR :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 이면 1입니다. AND: 두 비트 모두 1이면 1입니다. XOR: 두 비트가 같으..
1. 비트와 바이트 bit, byte는 컴퓨터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본 단위로써, 데이터의 크기나 저장 용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비트(bit)비트는 이진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로, 0 또는 1의 값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집니다. 컴퓨터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비트의 조합으로 처리합니다.  ▶ 바이트(byte)8개의 비트가 모이면 바이트가 되고, 컴퓨터 메모리와 저장 공간의 기본 단위로 사용   2. 최상위 비트(MSB), 최하위 비트(LSB)가장 왼쪽에 있는 비트를 Most Significant Bit(MSB)라고 하고, 가장 오른쪽 비트를 Least Significant Bit(LSB)라고 합니다.  ▶ 부호 비트란?부호 비트는 정수와 같은 데이터 타입의 부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1. 진법이란? 진법이란 숫자를 표현하는 방식의 기준입니다.각 진법은 특정한 기수(base)를 사용합니다.기수는 진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큰 수보다 하나 더 큰 값입니다.ex) 10진법은 기수가 10이고,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2. 주요 진법●  2진법(binary system)0과 1 두 가지 숫자만을 사용하여 모든 값을 표현합니다. 컴퓨터에서는 전기적 신호의 ON(True)/OFF(False)를 1/0으로 표현합니다. 이러한 0과1을 bit라고 하고 이것이 모여서 데이터가 됩니다. 2진수를 표현할 때는 보통 0b 접두어를 붙입니다.  2진수를 기반으로 컴퓨터 시스템이 운영될 때,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효율적 시스템 구축이 가능합니다. ●  8진법 (Octal system)0~7..
1. 컴퓨터 과학(computer Science)컴퓨터를 이용한 모든 작업과 그 기반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 이론 컴퓨터 과학, 알고리즘과 자료 구조, 프로그래밍 언어론과 정형 기법, 소프트웨어 공학,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등 매우 넓은 영역을 포함합니다. 2. 해킹과 컴퓨터 과학의 연관성 해킹이라는 것은 컴퓨터 과학 지식을 응용해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취약점을 찾고 공격하는 행위입니다.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이해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컴퓨터 과학의 지식이 없다면 수준 높은 해킹을 수행하지 못합니다.     출처https://ko.wikipedia.org/wiki/%EC%BB%B4%ED%93%A8..
1. Wargame이란? 워게임은 의도적으로 취약점이 존재하도록 설계된 모의 해킹 환경이라고 합니다.하나의 문제에서 취약점을 찾아서 플래그라고 하는 답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론적으로 배우는 것에서 실습을 해보며 이론을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워게임을 모아놓은 CTF(Capture The Flag)라는 대회도 존재합니다.보통 CTF 대회에는 웹해킹, 시스템해킹, 리버싱, 암호학, 포렌식 등.. 다양한 분야가 존재합니다.  2. 라이트업(Wirte-Up)이란?워게임이나 CTF 문제에서 답을 찾는 과정을 정리한 것입니다. https://ctftime.org/ 해당 사이트는 전세계에서 열리는 CTF 대회를 알려줍니다. 접속하면 팀의 순위와 곧 개최되는 CTF 대회 목록 및 지난 대회를 볼 ..
1. 화이트햇 스쿨이란? 화이트햇 해커 및 정보보안 인재를 대상으로 정보보안 교육 및 기술 멘토링 기회를 제공하고자 만든 프로그램👉 화이트햇 로고  "방어를 의미하는 방패와 우측상단에 모자를 형상화한 것으로, 화이트햇 스쿨을 통해 '보안..
스우스우03
'knowledge/기타 지식'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