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 SSL 암호화를 사용해서 localhost 30001 포트로 비밀번호를 제출하면 된다.
2. 이론들
- 이것도….. 네트워크 공부랑 심화 과정 공부하면 됨…..
- Secure Socket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 on Wikipedia
- OpenSSL Cookbook - Testing with OpenSSL
2.1 전송 계층 보안 (TLS)
- 전송 계층 보안(TLS)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의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 이 프로토콜은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VoIP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며, 특히 HTTPS를 통한 웹 보안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2.2 역사와 개발
- TLS는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가 개발한 보안 소켓 계층(SSL) 프로토콜에서 시작되었다.
- SSL 1.0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SSL 2.0은 1995년에 출시되었으나 보안상의 결함으로 인해 SSL 3.0으로 대체되었다.
- 1999년,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는 SSL 3.0을 기반으로 TLS 1.0을 표준화하였다.
- 이후 TLS 1.1(2006년), TLS 1.2(2008년), TLS 1.3(2018년)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2.3 디지털 인증서
- TLS는 공개 키 암호화를 사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보안을 유지한다.
- 이를 위해 디지털 인증서가 사용되며, 인증 기관(CA)이 이러한 인증서를 발급한다.
- 디지털 인증서는 서버의 신원을 확인하고, 중간자 공격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4 알고리즘
- TLS는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지원하며,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키 교환/합의: RSA, DH, ECDH 등
- 암호화: AES, ChaCha20 등
- 데이터 무결성: SHA-256 등
2.5 애플리케이션과 채택
- TLS는 웹사이트,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VoIP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특히 HTTPS를 통해 웹 트래픽을 암호화하여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다.
2.6 보안
- TLS는 개발 초기부터 여러 공격에 직면해 왔으며, 이에 대응하여 프로토콜이 개선되었다.
- 예를 들어, SSL 스트립핑, 다운그레이드 공격, 중간자 공격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와 같은 메커니즘이 도입되었다.
2.7 OpenSSL을 통한 TLS 테스트
- OpenSSL은 TLS 및 암호화 작업을 위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테스트와 구성에 사용된다.
- 특히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TLS 연결을 설정하고, 인증서와 키를 관리하며, 암호화 성능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
2.8 OpenSSL 시작하기
- OpenSSL을 사용하려면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openssl version 명령을 통해 설치된 OpenSSL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2.9 TLS 서비스에 연결하기
- OpenSSL의 s_client 명령을 사용하여 특정 서버의 TLS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을 통해 www.example.com의 443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openssl s_client -connect www.example.com:443
이 명령은 서버의 인증서와 TLS 설정 정보를 출력하며, 이를 통해 서버의 보안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풀이
echo "8xCjnmgoKbGLhHFAZlGE5Tmu4M2tKJQo" | openssl s_client -connect localhost:30001 -ign_eof
'Wargame > bandit warg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 19 까지 필요한 명령어 (0) | 2025.01.06 |
---|---|
Bandit Level 16 → 17 (0) | 2025.01.06 |
Bandit Level 14 → 15 (0) | 2025.01.06 |
Bandit Level 13 → 14 (0) | 2025.01.06 |
13 → 17 까지 필요한 명령어 (1) | 2025.01.06 |